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67

[선형대수]전치행렬의 정의와 성질, 공액전치행렬(에르미트 전치 행렬)의 정의와 성질

전치행렬의 정의와 성질, 공액전치행렬의 정의와질 안녕하세요.본수학 저자입니다. 대학수학 선형대수 개념정리입니다.   글 순서1. 전치행렬의 정의2. 전치행렬의 성질3. 공액전치행렬의 정의와 성질4. 본수학 네이버 카페  전치행렬의 정의행렬 \(A = \begin{pmatrix} a_{11} & a_{12} \\ a_{21} & a_{22} \end{pmatrix}\)의 전치행렬은 행렬의 행과 열을 바꾼 것으로, \(A^T\)로 표기됩니다. 구체적으로, 전치행렬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A^T = \begin{pmatrix} a_{11} & a_{21} \\ a_{12} & a_{22} \end{pmatrix}\] 전치행렬의 성질전치행렬에는 몇 가지 중요한 성질이 있습니다. 먼저, 전치를 두 번 하면 ..

[선형대수]대각행렬의 정의와 성질

대각행렬의 정의와 성질 안녕하세요.본수학 저자입니다. 대학수학 선형대수 개념정리입니다.   글 순서1. 대각행렬의 정의2. 대각행렬의 성질3. 스칼라 곱과 행렬의 곱4. 본수학 네이버 카페  대각행렬의 정의대각 행렬이란 모든 비대각 성분이 0인 정사각 행렬을 의미합니다.행렬 \( A = [a_{ij}] \) 가 대각 행렬이 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A = \begin{pmatrix} a_{11} & 0 & 0 & \cdots & 0 \\ 0 & a_{22} & 0 & \cdots & 0 \\ 0 & 0 & a_{33} & \cdots & 0 \\ \vdots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0 & 0 & 0 & \cdots & a_{nn} \en..

[선형대수]행렬의 가환성의 정의, 역행렬과 단위행렬의 정의

행렬의 가환성의 정의, 역행렬과 단위행렬의 정의 안녕하세요.본수학 저자입니다. 대학수학 선형대수 개념정리입니다.    글 순서1. 행렬의 가환성 정의2. 역행렬의 정의3. 단위행렬의 정의4. 본수학 네이버 카페  행렬의 가환성 정의행렬 \(A\)와 \(B\)가 가환이다는 것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AB = BA\] 여기서, \(A\)와 \(B\)는 같은 차원의 행렬이어야 합니다.가환성은 행렬의 곱이 순서에 의존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즉, 행렬의 곱을 계산할 때, 행렬의 순서를 바꿔도 결과가 동일하다면, 이 행렬들은 가환이다고 합니다.  영행렬의 정의영행렬이란 모든 요소가 0인 행렬을 의미합니다.행렬\(O\)가 \(m \times n\)의 영행렬일 때,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O..

[선형대수]행렬의 정의, 행렬의 계산, 정방행렬의 정의

행렬의 정의와 계산, 정방행렬의 정의 안녕하세요.본수학 저자입니다. 대학수학 선형대수 개념정리입니다.     글 순서1. 행렬의 정의2. 행렬의 계산 3. 정방행렬의 정의4. 본수학 네이버 카페  행렬의 정의행렬이란, 숫자나 식을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A = \begin{pmatrix} a_{11} & a_{12} & \cdots & a_{1n} \\ a_{21} & a_{22} & \cdots & a_{2n}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a_{m1} & a_{m2} & \cdots & a_{mn} \end{pmatrix} \]여기서, 행렬 A는 m행 n열의 요소를 가지며, 각 요소는 aij로 표현됩니다.  행렬의..

본수학 공통수학Ⅱ 개정판 샘플 문제 소개, 공통수학 Ⅱ 목록

안녕하세요.최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본수학문제집 저자입니다.  오늘은 본수학 공통수학 2 개정판의 샘플 문제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글 순서1. 공통수학Ⅱ 개정판 소개2. 공통수학 Ⅱ 개정판 샘플문제3. 공통수학 Ⅱ 개정판 사전구매4. 마치며 (사전구매하러가기)  공통수학 Ⅱ 개정판 소개 수학 상하가 2025년도부터 공통수학1, 2로 개정됩니다. 그에 따라서 본수학도 개정판의 작업을 거쳐 공통수학1, 2로 발매하려 합니다. 우선 책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책 : 공통수학1, 2(문제집+답지 2권으로 총 4권 출간 예정)발매권수 : 문제집 100권, 답지 100권 (2개에 1세트 100명 선착순)책 내용 : 개정된 교과 내용, 권당 100페이지 내외비용 : 문제집 20,000원, 답지 20,00..

본수학 공통수학Ⅰ 개정판 샘플 문제 소개, 공통수학 Ⅰ 목록

안녕하세요.최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본수학문제집 저자입니다.  오늘은 본수학 공통수학 1 개정판의 샘플 문제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글 순서1. 공통수학Ⅰ 개정판 소개2. 공통수학Ⅰ 개정판 샘플문제3. 공통수학Ⅰ 개정판 사전구매4. 마치며 (사전구매하러가기) 공통수학Ⅰ 개정판 소개 수학 상하가 2025년도부터 공통수학1, 2로 개정됩니다. 그에 따라서 본수학도 개정판의 작업을 거쳐 공통수학1, 2로 발매하려 합니다. 우선 책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책 : 공통수학1, 2(문제집+답지 2권으로 총 4권 출간 예정)발매권수 : 문제집 100권, 답지 100권 (2개에 1세트 100명 선착순)책 내용 : 개정된 교과 내용, 권당 100페이지 내외비용 : 문제집 20,000원, 답지 20,000원 (..

이과생 대학원에 진학해야하는 이유, 해외 유학 석사 박사

안녕하세요.최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본수학문제집 저자입니다.  오늘은 이과생이 대학원에 가야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믈론 대학원은 필수가 아닙니다만 이 글은 대학원 진학에 대해 갈팡질팡하는 분들일 것 같아대학원에 진학에 긍정적인 이야기를 담아보려고 합니다.우선 대학원 졸업의 프로세스는 대학교(학사)-대학원(석사)-대학원(박사)로 나뉘어집니다.그 후 포스트 닥터(포닥)과정이 있는데 제외하면 위의 프로세스가 대표적입니다.   글 순서1. 대학원 진학하면 좋은 점2. 해외 대학원을 가야하는가?3. 대학원은 석사까지? 박사까지? 4. 마치며  대학원 진학하면 좋은 점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대학원에 진학하면 좋은 점 몇 가지를 말해보려고 합니다. 1. 학문의 즐거움학사 즉 대학교 때까지만 공부를 하면..

공통수학1, 2 목차 확인 , 고난이도 문제집 추천

안녕하세요.최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본수학문제집 저자입니다. 2025학년도부터 고교학점제로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수학교육과정도 크게 바뀝니다.오늘은 공통수학1, 2 단원이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 순서1. 공통수학1 단원 정리2. 공통수학2 단원 정리3. 고난이도 본고사 문제집 본수학 공통수학1, 2 4. 마치며      공통수학1 단원 정리 2025학년도부터 적용될 공통수학1 단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항식다항식의 연산나머지 정리인수분해방정식과 부등식복소수와 이차방정식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여러가지 방정식과 부등식경우의 수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순열과 조합행렬행렬과 그 연산바뀐 교육과정도형의 방정식 단원 제외경우의 수 단원 추가행렬 단원 추가도형의 방정식 단원이 공통수학1에서 공..

[확률과 통계]표본평균의 기댓값과 표준편차, 대수의 법칙 심화개념

표본평균의 기댓값과 표준편차, 대수의 법칙안녕하세요. 본수학 저자입니다.오늘은 표본평균의 기댓값, 표준편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평균의 기댓값이라니 조금 이상하지 않나요?이전 시간에 평균과 기댓값은 조금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오늘 어떻게 다른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목차1. 표본평균과 표본표준편차2. 표본평균의 기댓값과 표준편차3. 대수의 법칙오늘의 학습 정리 1. 표본평균과 표본표준편차1.1 표본평균과 표본표준편차란?순열은 순서대로 열을 세운다는 뜻입니다.표본평균과 표본표준편차의 정의모집단에서 추출한 크기 \(n\)인 표본\(\{X_{1}, X_{2}, \cdots , X_{n}\}\)를 하나의 데이터라 간주할 때 그 평균값 \(\bar{X}\), 분산 \(S^{2}\),..

[확률과 통계]모집단, 표본추출, 모평균 심화개념

모집단, 표본추출, 모평균안녕하세요. 본수학 저자입니다.오늘은 모집단과 표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통계추정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으로 크게 어렵지는 않은 내용이나 꼭 외워두시기를 바라겠습니다.목차1. 모집단과 표본2. 추출3. 모집단분포오늘의 학습 정리 1. 모집단과 표본1.1 전수조사, 표본조사란?확률을 구하기 위해 조사를 실행합니다.전수조사와 표본조사전수조사란 대상 전체를 빠짐없이 조사하는 것이다. 표본조사란 전체의 대상에서 일부를 조사하는 것이다.드라마에서 공장에 생산된 제품이 이상이 있을 경우 관계자가 말합니다. "죄송합니다. 전수조사해서 차질없이 진행하겠습니다." 여기서도 알 수 있듯이 전수조사란 모두 빠짐없이 조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느 공장에서 하루에 만 개의 물건이 생산되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