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등수학 개념/수학Ⅰ 22

[수학Ⅰ]12.삼각함수의 성질

『삼각함수의 특징은 무엇일까?』 지난 시간에는 삼각함수의 정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3가지 함수에 대해 알아봤는데요.삼각함수의 정의를 배웠으면 당연히 그 다음으로 특징을 알아봐야겠죠?바로 삼각함수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본문 읽기 전에 본수학으로 공부한 후기도 읽어주세요! 과학고 수학 내신 1등 후기 보러가기 서울대 합격 후기 보러가기 삼각함수의 관계주기함수삼각함수의 그래프연습문제이번 포스트에서는 삼각함수의 성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삼각함수의 관계(1) \(\cos^2\theta+\sin^2\theta=1\)(2) \(\tan\theta=\frac{\sin\theta}{\cos\theta}(\cos\theta\neq0)\)(3) \(1+\tan^2\theta=\frac{1}{\cos..

[수학Ⅰ]11.삼각법

『피라미드의 높이는 얼마일까?』  어느 대기업 면접에서 피라미드의 높이를 구할 수 있나요? 라는 질문이 있었습니다.  너무 오래된 문제라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이 나왔지만가장 유명하고 간단한 방법이 바로 삼각비를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낮에 막대기를 하나 세워 높으면 그림자가 생깁니다.이 그림자와 막대기의 높이의 비율을 생각해 이것을 그대로피라미드의 그림자에 적용시키면 바로 피라미드의 높이를 구할 수 있겠죠!  이 삼각비가 조금 있다가 소개할 \(\tan\)입니다! tan는 직각삼각형에 대해 높이에 마주하는 각도에 대한 함수로높이를 아랫변의 길이로 나눈 함수입니다!  이런 단순한 함수인데 수학사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함수가 되어버렸죠.tan이외에도 cos, sin함수가 있습니다.  자 그럼 구체적으로 삼각..

[수학Ⅰ]10.호도법의 정의

『각도에 대한 함수는 없을까?』 이번 챕터부터는 삼각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삼각함수라는 말을 풀어보면 삼각형 + 함수라는 말인데요.정확히는 삼각형의 한 각에 대한 함수를 의미합니다!  근데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등 다양한 삼각형이 있는데어떤 삼각형을 기준으로 각에 대한 함수를 만들까요?  바로 직각삼각형에 대해 각에 대한 함수를 정의하기로 했어요!  이런 함수를 삼각함수라 해요.  직각삼각형에 대한 함수를 정의한 이유 중에 가장 큰 하나는 바로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할 수 있어서이지 않을까 싶네요!피타고라스 정리는 중학교 때 배우셨을거라 생각됩니다!빗변의 제곱은 남은 두 개의 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  자 그럼 구체적으로 삼각함수의 정의가 무엇인지 들어가기전에호도법에 대해 알아보..

[수학Ⅰ]9.지수와 로그 심화개념

『지수 로그 심화개념』 수험생 여러분 지수 로그 개념공부는 어땠는지요?이번 포스트는 지수 로그 단원에 조금 심화 개념을 다뤄보려고 합니다!몰라도 되지만 여러분의 궁금한 점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제작했습니다!자 그럼 바로 보실까요?본문 읽기 전에 본수학으로 공부한 후기도 읽어주세요! 과학고 수학 내신 1등 후기 보러가기 서울대 합격 후기 보러가기 지수심화개념로그심화개념연습문제지수심화개념\(0^0=1\)이라 정의한다.\(a>0\)이고 \(s\)를 무리수라 하자. \(s\)를 소수라 나타내고 소수 제 \(n\)번째 까지의 유리수인 수열을 \({x_n}\) \((n=1, 2, 3, \cdots)\)라 하면 \(a^s\)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a^s=a^{\lim_{n \to \infty}x_n}$$ ..

[수학Ⅰ]8.상용로그

『저 별은 지구에서 얼만큼 떨어져 있을까?』오늘은 로그의 마지막 시간입니다!바로 상용로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용이라는 말은 상시 이용 즉 자주 사용한다는 뜻인데요.로그를 자주 사용한다? 왜 자주 사용한다는 걸까요?  우리는 로그를 배울 때 밑과 진수에 대해서 배웠습니다.밑이 계속 변하면 당연히 로그값도 변하므로 사용하기가 어렵겠죠?  그래서 우리가사용하는 십진법에 맞춰밑이 10인 로그롤 통일했어요!  이 로그를 상용로그라 해요.  상용로그 값만 알면 어떠한 로그값이든지 밑의 변환공식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겠죠?그리고 상용로그의 활용으로 큰 수를 유추할 때 자주 사용돼요!  오늘의 타이틀처럼 지구와 별 사이의 거리와 같은 천문학적인 계산에 자주 사용되죠.자 그럼 구체적으로 상용로그의 정의가..

[수학Ⅰ]7.로그함수

『천천히 하지만 꾸준히 무한대로 가는 로그함수!』 지난시간에 배운 지수함수에 이어 오늘은 로그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타이틀을 보시면 천천히 하지만 꾸준히 라는 문구가 보이네요!지수와 로그와의 관계를 보시면 이 타이틀을 바로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우선 지수함수 \(y=2^x\)는 x가 조금만 증가해도 y의 값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죠.그럼 반대로 y의 값이 증가하면 x는 어떻게 될까요?우선 증가는 하겠지만 y의 값이 증가하는 속도보다 훨씬 느리겠죠?이것이 바로 오늘 타이틀의 이유입니다.    굳이 이 타이틀로 정한 이유는 지수함수처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도 있지만로그함수처럼 천천히 하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형태도 있습니다.예를 들면 바로 감염 속도입니다.코로나 19로 전 세계가 힘..

[수학Ⅰ]6.지수함수

『박테리아가 늘어나는 속도는 지수함수 속도만큼!』 여러분 박테리아가 분열하는 법에 대해 알고 계시죠?1개의 박테리아는 2개로 분열되고 각각의 박테리아는다시 2개로 분열되고 이 과정을 무한 반복하게 되죠.그럼 박테리아의 개수는 어떻게 될까요? 1개\(\rightarrow\)2개\(\rightarrow\)4개\(\rightarrow\)8개\(\rightarrow\) \(\cdots\) 위처럼 늘어나는 박테리아의 개수는 \(2^n\)단 \(n=0, 1, 2, 3, \cdots\)만큼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여기서 \(n\)은 0과 자연수로 이루어져있지만우리는 지수가 유리수, 더 나아가 실수로 확장가능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그러면 지수를 \(x\)라 하면 \(2^x\)를 \(y\)로 하는 함수를 그릴 수..

[수학Ⅰ]5.밑의 변환공식

『밑을 바꿔보자!』  로그의 정의와 성질에 대해 지난번 포스트에 대해 다뤘습니다!그러면 조금 더 로그에 중요한 성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바로바로 밑의 변환공식입니다.본문 읽기 전에 본수학으로 공부한 후기도 읽어주세요! 과학고 수학 내신 1등 후기 보러가기 서울대 합격 후기 보러가기 밑의 변환공식로그의 밑 또는 진수변형연습문제이번 밑의 변환공식을 이전 로그의 성질에서 따로 뗴어내어포스트를 작성하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입니다!그럼 어떤 공식인지 한 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밑의 변환공식 밑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은 되게 중요합니다.추후에 다시 배우겠지만 밑이 10인 상용로그와자연상수 e를 밑으로 하는 자연로그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죠!밑의 변환공식은 다음과 같아요!  밑의 변환공식 \(00\)일 때 다..

[수학Ⅰ]4.로그의 정의와 성질

『지수의 반대는?』『크~양변에 로그를 취한다.』 지난 번 시간까지 지수에 대해서 배웠습니다.아직 지수함수에 대해서는 안 배웠습니다만 지수함수는 일대일 함수이기에 역함수,즉 \(y=x\)에 대한 대칭인 함수를 갖습니다!오늘 배울 로그라는 것은 지수의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돼요!예를 들어 \(2^3\)는 8인 것을 2의 몇제곱을 해야 8인지 바꿔 생각하는 것입니다.오늘은 이와 같이 지수를 따로 떼어내여 표기하는 로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본문 읽기 전에 본수학으로 공부한 후기도 읽어주세요! 과학고 수학 내신 1등 후기 보러가기 서울대 합격 후기 보러가기 로그의 정의로그의 성질연습문제앞서 살펴 봤듯이 우리는 \(2^3=8\)를 알 수 있습니다.지수는 되게 중요한데 2의 위에 쓰기에는 뭔가 볼품이 없어보여..

[수학Ⅰ]3.지수가 유리수인 경우

『2를 \(\frac{3}{2}\)번 곱하면?』 지난 글 타이틀과 동일한 것 같은데 뭔가 살짝 다릅니다.지난번은 \(\frac{1}{2}\)였는데 분자가 3이 되었어요!근데 유리수의 정의를 보면 유리수는 \(\frac{p}{q}\) 단 p와 q는 서로소인 정수이며 \(q\neq0\)기 때문에위의 값도 정의가 되어야 지수를 유리수까지 확장시켰다고 볼 수가 있죠.우리는 지수가 분모가 1이 아닌 유리수인 경우도 지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쉽게 알 수가 있습니다!part1의 내용과 part2의 내용을 공부하신 여러분들은 벌써 어떻게 정의하면 좋을지 알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우선 이번 part에서 배워볼 부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본문 읽기 전에 본수학으로 공부한 후기도 읽어주세요! 과학고 수학 내신 1등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