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본수학 저자입니다.
오늘은 기댓값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댓값은 말 그대로 기대하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은 로또를 사면 얼마를 받을지 기대하잖아요?
그것을 값으로 계산한 것을 기댓값이라 합니다.
목차
1. 기댓값
1.1 기댓값이란?
기댓값은 어느 확률로 어느 값이 일어날 때 총 기대하는 값이다.
변수
(단
변수
구체적으로는 확률변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 내용은 대학과정에 적합하므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기댓값의 정의를 보면 특정값에 그 값을 가질 확률을 곱해 전부 더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저희는 이미 이 과정을 중고등학교 시험 때 반평균이라는 말로 배운적이 있습니다.
정확히는 평균(Mean)과 기댓값(Expectation)은 다르지만 시험성적 평균은 기댓값과 동일한 정의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체 50명인 반중에 100점이 10명, 90점이 20명, 80점이 20명이면 반평균은
그러면 기댓값의 정의에 나온 변수는 어디에 해당될까요?
바로 시험보고 나온 시험점수가 변수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기댓값(Expectation)의 앞글자를 따와서 변수
1.2 기댓값의 실생활 예시
앞서 기댓값의 정의와 간단한 예시를 살펴봤는데요. 또 다른 실제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로또 1등 당첨 확률은
즉 여러분은 로또를 사시면 당첨금액은 한 게임당 827원이 받을 수 있는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한 게임에 1000원이면 확률이론상 그렇게 나쁜 게임은 아니라는 뜻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로또 뿐만 아니라 복권도 당첨 확률을 알면 기댓값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2. 기댓값의 합의 법칙
2.1 기댓값의 합의 법칙이란?
기댓값의 합의 법칙은 기댓값이 선형적이라는 것을 뜻합니다.임의의 실수
(1)
【증명】
변수
(2)를 증명하여라.
2.2 기댓값의 합의 법칙 예시
실제 예시를 들어 실생활에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앞의 로또 예시에서 다음의 기댓값을 구하여라.
(1) 두 장을 살 때의 기댓값을 구하여라.
(2) 한 장을 사면 100원을 줄 때 기댓값을 구하여라.
- (1)
- (2)
- 단순히 두 장 사면 두 배가 된다는 뜻입니다! 쉽죠?
3. 기댓값의 곱의 법칙
3.1 기댓값의 곱의 법칙이란?
변수
【증명】
변수
단
따라서 기댓값의 정의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다.
오늘의 학습 정리
【기댓값】
【기댓값의 합의 법칙】
【기댓값의 곱의 법칙】
변수
기댓값은 확률에서 단순하게 보이지만 대학과정에서는 어느 의미에서 적분을 뜻합니다.
기댓값은 경우의 수, 확률의 최종적인 집합체 개념으로 꼭 학습해두셔야 합니다.
로또 당첨 금액의 기댓값을 구하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