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수학 개념/확률과 통계

[확률과 통계]여사건, 독립시행, 반복시행의 확률 심화 개념

본수학 2024. 6. 7. 09:36
반응형

 

 

 

여사건, 독립시행, 반복시행

안녕하세요. 본수학 저자입니다.

오늘은 여러가지 확률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경우에 어떻게 확률을 계산하는지 알고 계시면 쉽게 문제를 해결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목차

1. 여사건

1.1 여사건이란?

여사건은 앞서 배운 여집합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여사건의 정의

사건 A에 대해 A가 일어나지 않을 사건을 A의 여사건이라 하며 A¯ 또는 Ac라 나타낸다.

여사건은 전사건 U에 대하여 나머지 부분이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U=AAc와 같은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AAc=입니다.

 

 

1.2 여사건의 확률

앞서 여사건의 정의를 알아봤으면 여사건의 확률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여사건의 확률

전사건을 U라 할 때 사건 A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P(U)=P(A)+P(A¯)

【증명】

특히 AB=일 때는 다음을 알 수 있다. n(AB)=n(A)+n(B)

양변을 n(U)로 나누어주면 주어진 식이 성립한다.

 

그럼 여사건은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요? 문제에서 많은 경우의 수를 구하는 것보다 여사건의 경우의 수를 구하는 것이 쉬울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종종 ~가 아닌, 적어도~ 이런 문구가 들어가 있으면 보통 여사건으로 구하면 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제1

흰 공이 6개, 빨간 공이 5개 들어있는 상자에서 4개의 공을 꺼냈을 때 적어도 흰 공이 1개 이상 포함되는 확률을 구하여라.

【해설】
      여사건으로부터 흰 공이 1개도 포함되지 않을 확률, 즉 모두 빨간 공을 뽑을 확률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5C411C4=5×4×3×24×3×2×111×10×9×84×3×2×1=166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확률은 다음과 같다.
      1166=6566

2. 독립시행

2.1 독립시행이란?

확률에서 매우 중요한 성질중에 하나인 독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독립은 Independence라 하며 여러 사건에 대하여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안 끼칠때 독립이라고 합니다.

독립의 정의

두 개의 시행 S,T에 대하여 시행의 결과가 서로에 영향이 없다고 할 때 시행 ST는 서로 독립이라 한다. 또는 시행 S로부터 일어난 사건 A,시행 T로부터 일어난 사건 B에 대해서 사건 AB는 독립이라 한다.

2.2 독립시행의 확률

독립시행일 때 다음이 성립하는 것은 꼭 외워두시기 바랍니다!

 

독립시행의 확률

독립인 시행 ST에 대하여 시행 S로부터 사건 A가 일어나고 시행 T로부터 사건 B가 일어날 때 다음이 성립한다.

 

P(AB)=P(A)P(B)

 

위의 성질은 대학교 과정에서 증명하지만 고등교과과정에서 정의처럼 외워두시는게 좋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역이 성립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P(AB)=P(A)P(B)이 성립해도 사건 AB가 꼭 독립이라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예제2

영희, 철수, 민수 세 사람이 합격할 확률이 각각 12,23,34일 때 한 사람만 합격할 확률을 구하여라.

【해설】
      영희, 철수, 민수가 각각 합격할 확률은 독립적이다.
      영희만 합격할 확률 12(123)(134)=124
      철수만 합격할 확률 (123)23(134)=224
      민수만 합격할 확률 (123)(123)34=324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확률은 다음과 같다.
      124+224+324=14

연습문제1

사건 AB가 독립일 때 다음이 성립하는 것을 증명하여라.

P(ABc)=P(A)P(Bc)

P(AcB)=P(Ac)P(B)

P(AcBc)=P(Ac)P(Bc)



3. 반복시행

3.1 반복시행이란?

반복시행은 같은 행위를 여러번 하는 것을 뜻합니다..

반복시행

같은 조건에서 같은 행위를 반복할 때 각 회수의 시행은 독립니다. 이와 같이 독립적인 시행을 반복하는 것을 반복시행이라 한다.

3.2 반복시행의 확률

반복시행의 확률

한 번의 시행에서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을 p라 하자. 이 때 n번 시행할 때 사건 Ar번 일어날 확률은 다음과 같다.

nCrpr(1p)nr

n번 중에 r번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n개 중에서 r를 뽑는 것과 같으므로 조합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여사건을 활용하여 사건 A가 일어나지 않을 확률을 1p로 나타냈습니다.
예제2

주사위를 5번 던졌을 때 3의 배수인 수가 윗면에 3번 나올 확률을 구하여라.

【해설】
        3의 배수는 3, 6이므로 3의 배수가 나올 확률은 26=13이다.
        따라서 반복시행의 확률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다.
        5C3(13)3(23)2=40243

오늘의 학습 정리

여러가지 확률계산 정리

【여사건의 확률】

사건 A에 대하여 P(A)=1P(Ac))

 

【독립시행의 확률】

사건 AB가 독립일 때 P(AB)=P(A)P(B)

 

【반복시행의 확률】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을 p라 할 때 n번 시행할 때 사건 Ar번 일어날 확률 nCrpr(1p)nr

 

위의 여러가지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실제 확률문제를 푸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꼭 복습하여 실전에 적재적소 사용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