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선형대수

[선형대수]대각행렬의 정의와 성질

본수학 2024. 9. 13. 14:34
반응형

대각행렬의 정의와 성질

 

안녕하세요.

본수학 저자입니다.

 

대학수학 선형대수 개념정리입니다. 

 

 

글 순서

1. 대각행렬의 정의

2. 대각행렬의 성질

3. 스칼라 곱과 행렬의 곱

4. 본수학 네이버 카페

 

대각행렬의 정의

대각 행렬이란 모든 비대각 성분이 0인 정사각 행렬을 의미합니다.

행렬 A=[aij] 가 대각 행렬이 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A=(a110000a220000a330000ann)

여기서 aii 는 대각 성분이며, 나머지 성분은 0입니다.

대각행렬의 성질

대각 행렬에는 몇 가지 중요한 성질이 있습니다.

먼저, 대각 행렬의 합은 다시 대각 행렬이 됩니다.

즉, 임의의 대각 행렬 AB 에 대해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A+B=(a11+b11000a22+b22000ann+bnn)

스칼라 곱과 행렬의 곱

또한, 스칼라 곱이나 행렬의 곱에 대해서도 대각 행렬의 성질이 유지됩니다.

임의의 스칼라 c 에 대해 대각 행렬 A 의 스칼라 곱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 cA=(ca11000ca22000cann)

또한, 대각 행렬 간의 곱도 대각 행렬이 됩니다.

AB=(a11b11000a22b22000annbnn)

 

본수학 네이버 카페 

최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본고사 문제 제작 카페를 운영중입니다.

  • 수능 수학 1등급 준비 
  • 과학고, 영재고 내신
  • 물리, 화학 경시대회 준비
  • 대학수학 학점 관리
  • 대학원 진학 준비 
 
 

최상위권 학생을 위한 심화 문제 맞춤... : 네이버 카페

수능 1등급, 수리논술, 과학고, 영재고 학생을 위한 본고사 문제 맞춤 제작소입니다.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