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선형대수

[선형대수]행렬의 정의, 행렬의 계산, 정방행렬의 정의

본수학 2024. 9. 10. 22:13
반응형

행렬의 정의와 계산, 정방행렬의 정의

 

안녕하세요.

본수학 저자입니다.

 

대학수학 선형대수 개념정리입니다. 

 

 

 

 

글 순서

1. 행렬의 정의

2. 행렬의 계산 

3. 정방행렬의 정의

4. 본수학 네이버 카페

 

행렬의 정의

행렬이란, 숫자나 식을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A=(a11a12a1na21a22a2nam1am2amn)

여기서, 행렬 Amn열의 요소를 가지며, 각 요소는 aij로 표현됩니다.

 

행렬의 계산

1. 행렬의 덧셈

행렬 AB의 덧셈은 같은 크기의 행렬끼리 수행합니다.

A+B=(a11a12a21a22)+(b11b12b21b22)=(a11+b11a12+b12a21+b21a22+b22)

2. 행렬의 뺄셈

행렬 AB의 뺄셈도 같은 크기의 행렬끼리 수행합니다.

AB=(a11a12a21a22)(b11b12b21b22)=(a11b11a12b12a21b21a22b22)

3. 행렬의 곱셈

행렬 AB의 곱셈은 A의 열 수와 B의 행 수가 같을 때 수행합니다.

AB=(a11a12a21a22)(b11b12b21b22)=(a11b11+a12b21a11b12+a12b22a21b11+a22b21a21b12+a22b22)

 

 

정방행렬의 정의

정방 행렬이란

정방 행렬은 행의 수와 열의 수가 같은 행렬을 의미합니다. 즉, nn 열의 행렬입니다.

수식에 의한 정의

행렬 A가 정방 행렬이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A=(a11a12a1na21a22a2nan1an2ann)(n×n)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며, 행렬의 각 요소 aij는 임의의 숫자입니다.

다음은 3행 3열의 정방 행렬의 예입니다:

B=(b11b12b13b21b22b23b31b32b33)(3×3)

본수학 네이버 카페 

최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본고사 문제 제작 카페를 운영중입니다.
  • 수능 수학 1등급 준비 
  • 과학고, 영재고 내신
  • 물리, 화학 경시대회 준비
  • 대학수학 학점 관리
  • 대학원 진학 준비 
 
 

최상위권 학생을 위한 심화 문제 맞춤... : 네이버 카페

수능 1등급, 수리논술, 과학고, 영재고 학생을 위한 본고사 문제 맞춤 제작소입니다.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