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선형대수

[선형대수]행렬의 가환성의 정의, 역행렬과 단위행렬의 정의

본수학 2024. 9. 12. 22:42
반응형

행렬의 가환성의 정의, 역행렬과 단위행렬의 정의

 

안녕하세요.

본수학 저자입니다.

 

대학수학 선형대수 개념정리입니다. 

 

 

 

글 순서

1. 행렬의 가환성 정의

2. 역행렬의 정의

3. 단위행렬의 정의

4. 본수학 네이버 카페

 

행렬의 가환성 정의

행렬 AB가 가환이다는 것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AB=BA

 

여기서, AB는 같은 차원의 행렬이어야 합니다.

가환성은 행렬의 곱이 순서에 의존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즉, 행렬의 곱을 계산할 때, 행렬의 순서를 바꿔도 결과가 동일하다면, 이 행렬들은 가환이다고 합니다.

 

영행렬의 정의

영행렬이란 모든 요소가 0인 행렬을 의미합니다.
행렬Om×n의 영행렬일 때,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O=(000000000)m×n

여기서 모든 요소가 0임을 나타냅니다.

영행렬은 행렬의 덧셈에서 항등원의 역할을 합니다.

즉, 임의의 행렬 A에 대해 다음 관계가 성립합니다:

A+O=A

단위행렬의 정의

단위행렬이란 대각 성분이 모두 1이고, 나머지 성분이 모두 0인 정방행렬을 의미합니다.
행렬 In×n의 단위행렬일 때,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I=(100010001)n×n

여기서 대각 성분이 1이고 비대각 성분이 0임을 나타냅니다.

단위행렬은 행렬의 곱에서 항등원의 역할을 합니다. 즉, 임의의 행렬 A에 대해 다음 관계가 성립합니다.

AI=A

또한, IA=A도 성립합니다.

 

본수학 네이버 카페 

최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본고사 문제 제작 카페를 운영중입니다.

  • 수능 수학 1등급 준비 
  • 과학고, 영재고 내신
  • 물리, 화학 경시대회 준비
  • 대학수학 학점 관리
  • 대학원 진학 준비 
 
 

최상위권 학생을 위한 심화 문제 맞춤... : 네이버 카페

수능 1등급, 수리논술, 과학고, 영재고 학생을 위한 본고사 문제 맞춤 제작소입니다.

ca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