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수학 개념/확률과 통계

[확률과 통계]조합, 조합의 성질, 중복조합 심화 개념

본수학 2024. 6. 4. 10:22
반응형

 

 

 

조합, 조합의 성질, 중복조합

안녕하세요. 본수학 저자입니다.

오늘은 조합의 정의와 성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우의 수 단원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조합입니다. 조합이란 무엇인지 정의를 확실히 공부해 놓으면 고난이도 문제에 대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목차

1. 조합

1.1 조합이란?

조합은 순서를 생각하지 않고 그룹을 만든다는 뜻입니다.

 

조합의 정의

 순서를 생각하지 않고 뽑는 방법을 조합이라 한다. 서로 다른 n개에서 서로 다른 r개를 뽑아 만드는 조합을 n개에서 r개를 뽑는 조합이라 하고 그 총 수를 nCr이라 나타낸다.

앞서 순열이랑 다른 부분은 순서를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부터 5까지의 숫자가 적힌 공이 5개 있는데 여기서 3개를 뽑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순열을 구하는 것이라면 즉,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이렇게 오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것이므로 (1,2,3), (1,3,2), (2,3,1), (2,1,3), (3,1,2), (3,2,1)모두 다른 경우지만 조합에서는 순서가 아닌 그룹을 나타내므로 모두 같은 한 가지의 경우로 취급합니다.

 

여기서 기호 C가 나오는데 이것은 조합의 영어인 Combination에서 따왔습니다.

1.2 nCr의 계산

 조합은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이 아닌 그룹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는데 정확히 조합의 기호는 어떻게 계산하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Cr

n을 자연수, r0rn인 정수라 할 때 nCr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nCr=n(n1)(n2)(nr+1)r!=n!r!(nr)!=nPrr!

 

특히 r=n일 때 nPr=n!, r=0일 때 nP0=1

자세히 보시면 순열을 계산 후 r의 팩토리얼을 나누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조합의 정의로 돌아가면 순서상관없이 그룹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면 r개를 나열 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r!인데 이것은 모두 하나로 취급하므로 순열의 개수에서 r!로 나누는 것이 조합의 개수를 구하는 것과 같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2 nCr의 성질

조합의 성질은 경우의 수를 세는 단순 계산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nCr의 기본성질

(1) n을 자연수, r0rn이 되는 정수라 할 때

 

nCr=nCnr

 

(2) n을 2이상의 자연수, r1rn1이 되는 정수라 할 때

 

nCr=n1Cnr+n1Cr

【증명】

(1) n개 중에서 r개를 포함하는 그룹을 만드는 것은 자연스럽게 나머지 nr개를 포함하는 그룹을 만드는 것과 같으므로 조합의 정의에 의해 성립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n개 중에서 r개를 포함하는 그룹을 만드는 것은 특정 한 개를 고르고, 그것이 포함되어 있는 그룹을 세는 것과 포함되어 있지 않은 그룹의 개수를 세는 것의 합과 같다. 따라서 특정 한개를 고르고 그것이 포함되어 있는 그룹은 n1개 중에서 r1개를 포함하는 그룹을 만드는 것과 같고 포함되어 있지 않는 그룹은 n1개 중에서 r개를 만드는 것과 같으므로 조합의 정의에 의해 성립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습문제1

위의 성질을 nCr의 정의를 이용하여 증명하여라.

1.3 조합의 관계식

조합의 관계식

(1) n, k를 자연수,1kn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knCr=nn1Ck1

【증명】

 

knCk=kn!k!(nk)!=n(n1)!(k1)!(nk)!=nn1Ck1

 

 

 

 

2.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

2.1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의 총 수

순열은 순열인데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은 어떻게 셀까요? 특이하게도 조합을 이용하여 순열을 계산합니다.

같은 것을 포함하는 2개의 순열

Ap개, Bq개 총 (p+q)개의 순열의 총 수는 다음과 같다.

p+qCp=p+qCq=(p+q)!p!q!

【증명】

우선 같은 p개와 q개가 서로 다르다고 생각하자. 그럼 p+q개의 순열은 (p+q)!이다. 그 후 서로 다른 p개를 같이 보면 p!만큼 같은 개수가 생긴다. 예를 들어 p1과 , p2가 서로 다르고 하자. 그러면 (a,p1,b,p2)(a,p2,b,p1)는 서로 다른 열이 된다. 하지만 p1p2가 같다고 생각하면 2개 즉 2!만큼 같기 때문에 22!=1개가 된다. 이처럼 q개도 서로 같다고 생각하면 구하고자 하는 순열은 다음과 같다. (p+q)!p!q!=p+qCp=p+qCq

 

같은 것을 포함하는 3개의 순열

Ap개, Bq, Cr개 총 (p+q+r)개의 순열의 총 수는 다음과 같다.

(p+q+r)!p!q!r!

【증명】

위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증명가능하다.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의 총 개수는 다음의 순서대로 구할 수 있다.

(1) 전부 서로 다르다고 보고 순열의 총 개수 N을 구한다.

(2) N을 같은 것의 개수의 팩토리얼로 나눈다.

연습문제2

위의 일반화된 식을 증명하여라.

2.2 평면에서의 최단경로의 개수

유한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셀수 있으면 유한집합의 연산 특히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도 셀 수 있습니다. 우선 집합 두 개의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면에서의 최단경로의 개수

m×n개의 바둑판으로 이루어진 길이 있을 때 A에서 B로 가는 최단경로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m+n)!m!n!=m+nCm=m+nCn

【증명】

평면에서의 최단경로의 개수는 m개, n개인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과 같다.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m+n)!m!n!=m+nCm=m+nCn

예제1

전체 집합 U={1,2,3,4,5}이고 U의 부분집합 A={1,2,3}이 있을 때 A의 여집합 Ac를 구하여라.

【해설】

      U{1,2,3}{4,5}의 합집합으로 구성되므로 Ac{4,5}이다.



3. 중복조합

3.1 중복조합이란?

조합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인 중복조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복조합

 서로 다른 n개 중 중복을 허용하여 r개를 고르는 경우의 수를 중복조합이라 하며 nHr이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과하고 배 두 종류의 과일이 있는데 이 중에 중복을 허용하여 3개를 택하는 경우는(배, 배, 배), (배, 배, 사과),(배, 사과, 사과), (사과, 사과, 사과) 총 4개입니다.

3.2 중복조합의 개수

그러면 중복조합 nHr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복조합의 개수

중복조합 nHr는 다음과 같다.

nHr=n+r1Cr=(n+r1)!(n1)!r!

【증명】

r개를 a1,a2,,ar라 하고 칸막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n개로 대응시킬 수 있다. 위의 예시를 예로 들면 3개를 뽑으므로 a1,a2,a3라 하고 칸막이 / 를 이용하여 두 곳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a1,a2,a3) (a1,/a2,a3) (a1,a2,/a3) (a1,a2,a3/) 칸막이 / 를 기준으로 앞에는 사과, 뒤는 배로 나눌 수 있다. 칸막이 / 앞이나 뒤에 아무것도 없으며 개수는 0개이다. 위와 같은 경우의 수는 a1,a2,a3를 같다고 보고 칸막이를 포함한 순열의 개수이므로 4C3 또는 4C1이다. 이를 일반화하면 r개에 구분선 n1개를 추가하여 r개를 같게 보는 순열의 개수이므로 다음을 알 수 있다.

nHr=n+r1Cr=(n+r1)!(n1)!r!

예제1

빨강, 파랑, 검은 색 3종류의 공이 여러개가 있다. 이 중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4개의 공을 꺼내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

【해설】

      구하고자 하는 경우의 수는 3H4=6C4=15가지다.



오늘의 학습 정리

여러가지 조합

【조합】

순서를 생각하지 않고 뽑는 방법을 조합이라 한다. 서로 다른 n개에서 서로 다른 r개를 뽑아 만드는 조합을 n개에서 r개를 뽑는 조합이라 하고 그 총 수를 nCr이라 나타낸다.

nCr=nCnr==n!r!(nr)!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

Ap개, Bq개 총 (p+q)개의 순열의 총 수는 다음과 같다.

p+qCp=p+qCq=(p+q)!p!q!

 

【중복조합】

서로 다른 n개 중 중복을 허용하여 r개를 고르는 경우의 수를 중복조합이라 하며 nHr라 나타낸다.

nHr=n+r1Cr=(n+r1)!(n1)!r!

 

조합은 가장 어려운 단원이고 킬러문항으로도 많이 나오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필요로 합니다.